남북 모두 강경한 대응
천안함 사태로 인해 결국 남북간 화해협력 관계는 종지부를 찍게 됐다.
24일 이명박 대통령은 대국민 담화에서 대북 교역과 경협을 중단하고 북한 선박이 우리 영해를 지나가지 못하게 하며 대북심리전도 부활시키라는 강도 높은 조치를 발표했다.
그리고 25일에는 북한을 주적으로 다시 표기하도록 조치를 취했다.
아울러 안보리 회부를 통해 국제적 제재초치도 취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또한 북한이 또 다시 도발을 해온다면 강력한 응징을 하겠다고 엄포했다.
이에 북한도 즉각 반응을 보였다.
조평통 대변인은 "북남 사이의 모든 통신연계를 단절한다"며 "개성공업지구에 있는 북남경제협력협의사무소를 동결, 철폐하고 남측 관계자들을 즉시 전원 추방한다"는 비판 성명을 냈다.
이어 "판문점 적십자연락대표의 사업을 완전 중지한다"고 밝혀 1971년 적십자회담에서 시작된 판문점 적십자대표부가 39년여 만에 문을 닫게 됐다.
게다가 “괴뢰패당의 대북심리전에 대한 우리의 전면적인 반격을 개시한다”고 선포했다.
그러면서 "앞장에 나서서 사건의 책임을 우리에게 전가하고 무모한 도발로 공식 도전해 나선 조건에서 우리는 단호한 징벌조치로 나갈 수밖에 없게 됐다"며 "이제부터 북남관계 전면폐쇄, 북남 불가침합의 전면 파기, 북남 협력사업 전면철폐의 단호한 행동조치에 들어간다는 것을 정식 선포한다"며 이와 같은 8개 항을 1단계 조치라고 밝혔다.
앞으로 추가로 남북관계 차단의 수위를 높이는 조치를 내놓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렇듯 남북이 강경한 자세를 보이면서 온 나라가 전쟁분위기로 전환되고 있다.
주가도 큰 폭으로 하락하고 많은 국민들은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고 일부에서는 그 동안 사라졌던 사재기 현상도 일어나고 있는 게 현실이다.
당분간 이러한 공포 분위기는 계속이어 질 것이다.
하지만 이런 분위기가 오래 지속된다면 큰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일부 보수단체나 원로라고 나서는 사람들은 전면전도 불사하자는 주장을 한다.
평화를 위해서는 전쟁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러면서 지난 10년 동안 국민들이 안보의식이 없었다면서 비판을 하고 있다.
이런 주장은 국민들을 더욱 불안하게 만들고 갈등만 유발하는 발언일 뿐이다.
지금은 침착하고 유연한 자세가 중요하다.
그리고 얼마 안 있으면 선거이다. 정부와 여당은 계속해서 이번 사태를 선거에 악용하고 있는 분위기이다. 이번 사태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것은 치졸한 방법일 뿐이라는 것을 알았으면 한다.
이번 사태가 어떠한 방향으로 전개될지 알 수 없다. 하지만 남북 모두 평화를 원하고 전쟁은 바라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이번 사태가 평화적이고 원만하게 잘 마무리되길 바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