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외고 문제로 상당히 시끄럽다.
외고가 사교육 시장 문제에 있어서 제일 큰 주범이기 때문에 폐지하거나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대해 외고 관련 단체들은 강력히 반발하며 유지를 주장하고 있다.
외고는 글로벌스탠다드에 맞춰 외국어 영재를 키우기 위한 전문 교육기관으로 설립이 됐다.
하지만 외고에 들어가면 외국어 전문 양성 기관으로서 역할을 하는 것보다 어떻게하면 더욱 좋은 대학에 갈 수 있는지에 더욱 신경을 쓰고 있다는 것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당연히 외고에 들어가기 위해 많은 어려운 외고 전형을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부모와 학생들은 과도하게 사교육에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는게 현실이다.
우리나라 풍토는 좋은 대학에 가서 좋은 직장을 얻는 것이 최종 목표이기 때문에 이것이 외고에 대한 맹목적으로 매달린 측면이 많다. 외교에 들어가면 다른 교육기관보다 좋은 대학에 갈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기 때문이다. 이것은 여러지표를 통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부작용을 우려해 계속해서 외고는 논란의 중심에서 폐지를 해야한다는 이야기를 듣고 있다.
하지만 어느 나라든 엘리트 양성기관은 하나씩있다.
외고도 분명 더욱 좋은 환경에서 우리나라 교육에 질을 높혔다는 것은 사실이다.
이런 순기능적인면을 부정하고 무조건적으로 폐지를 한다고 해서 사교육이 줄지는 않는다.
따라서 가장 좋은 방안을 검토해 어떻게 외고가 좋은 방향으로 발전시킬지 고민해야 한다.
특히 외고가 특정계층에게 유리하게 작용했던 점을 바로잡고 취약계층도 외고에 입학할 수 있는 길을 넓혀줘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 까다로운 외고 전형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키고 특권의식을 버려야 한다는 생각을 해본다.
또한 외고와 성격이 비슷한 국제고로 전환도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국제고는 외고보다 전형이 까달롭지 않기 때문에 이런 논란에서 조금은 자유롭다.
그렇지만 교육은 누구에게나 동등하게 주어지는 의무이다. 그렇기 때문에 신중한 논의를 걸쳐 우리 교육의 밝은 미래를 위해 모두가 이해할 수 있는 방안을 찾도록 노력해야 한다.
섣부른 판단은 더욱 좋지 않은 방향으로 흐르기 때문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이야기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아 12년만에 감격의 우승 (0) | 2009.10.24 |
---|---|
4대강 사업 수질개선 효과 조작 (0) | 2009.10.23 |
세종시 종착점은? (0) | 2009.10.21 |
김연아 그랑프리 6연패 달성 (0) | 2009.10.18 |
기아 한국시리즈 1,2차전 연승 (0) | 2009.10.18 |